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6년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기준중위소득표로 기준 확인하기

"이 게시물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2026년 기준중위소득이 역대 최대폭으로 인상되면서 생계급여, 주거급여, 의료급여, 교육급여의 수급 조건도 함께 조정되었습니다. 특히 1인 가구와 청년층, 저소득 가구의 수급 가능성이 확대되며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 급여별로 적용되는 2026년 기준중위소득 대비 선정기준을 가구원 수별로 정리해드리며, 수급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자세히 안내해드립니다.

2026년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기준중위소득 기준 확인

 

2026년 기준중위소득 100% 확인하기(보건복지부)

 

1.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은 국민 전체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소득 금액을 의미합니다.
기초생활보장급여는 물론이고, 국민취업제도, 에너지바우처, 국가장학금 등 80여 개의 복지사업이 이 기준을 바탕으로 수급 대상자를 정합니다.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아래와 같이 변경되었습니다.

2026년기준중위소득100% 표

  • 2026년 기준중위소득은 전년 대비 모든 가구원 수에서 인상되었으며, 특히 1~2인 가구의 상승 폭이 두드러집니다.
  • 1인 가구의 기준중위소득은 2025년 2,392,013원에서 2026년 2,564,238원으로 7.20% 인상되었습니다. 이는 약 17만 2천 원 증가한 금액으로, 복지 수급 조건 완화에 따라 1인 가구의 수급 가능성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2인 가구는 전년도 3,932,658원에서 4,199,292원으로 6.78% 인상되어 약 26만 6천 원이 상승했습니다.
  • 3인 가구는 5,025,353원에서 5,359,036원으로 올라 6.63% 인상, 약 33만 원 증가했습니다.
  • 4인 가구는 6,097,773원에서 6,494,738원으로 6.51% 상승해 약 39만 7천 원 인상된 금액이 적용됩니다.
  • 5인 가구는 7,108,192원에서 7,556,719원으로 6.31% 인상, 약 44만 8천 원 증가했습니다.
  • 6인 가구는 8,064,805원에서 8,555,952원으로 6.09% 인상되어 약 49만 원 정도 인상되었습니다.
  • 이처럼 가구원 수가 적을수록 인상률이 높은 경향을 보이며, 이는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 추세를 반영한 조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의 다수가 1인 가구인 점을 고려하면, 1인 가구에 대한 지원 강화 의지가 뚜렷하게 나타난 해석이 가능합니다.

2. 생계급여 가구원 수 별 기준 

생계급여는 가장 기본적인 지원으로,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32% 이하인 경우 신청 가능합니다.

가구원 수 2026년 생계급여 기준

생계급여 가구원 수 별 기준 중위소득

3. 의료급여 가구원 수 별 기준 

의료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40% 이하일 때 신청할 수 있으며, 병원비 중 본인부담을 제외한 대부분의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의료급여 가구원 수 별 기준 중위소득

※ 2026년부터는 외래진료 연 365회 초과 시 본인부담률 30% 적용 예정 (예외 있음)

4. 주거급여 가구원 수 별 기준 

주거급여는 임차료 지원을 중심으로 한 제도로, 중위소득 48% 이하 가구가 대상입니다.
단, 실제 지원금은 지역 급지와 가구원 수에 따라 달라지며, 기준임대료 내에서 책정됩니다.

주거급여 가구원 수 별 기준 중위소득

5. 교육급여 가구원 수 별 기준 

교육급여는 초·중·고 학생을 둔 가정에서 중위소득의 50% 이하일 경우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학생 1인당 교육활동지원비 외에도 고등학생에게는 입학금, 수업료, 교과서비가 실비로 지원됩니다.

교육급여 가구원 수 별 기준 중위소득

6. 2026년 기준중위소득  FAQ

건강보험료만 보고도 기준 중위소득에 해당하는지 알 수 있나요?

어느 정도는 가능합니다. 복지로 또는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건강보험료 기준표를 참고하면 본인의 가구 구성과 보험료 수준으로 예측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소득인정액은 보험료 외에도 재산, 자동차, 금융소득 등을 반영하므로 정확한 판단은 복지로의 모의계산 기능을 이용해보시길 권장합니다.

작년에 생계급여 탈락했는데 올해는 신청해볼 만할까요?

그렇습니다. 2026년에는 기준중위소득이 인상된 데다, 청년소득공제 확대·자동차재산기준 완화 등 제도 개선이 함께 이루어졌습니다. 특히 1인 가구 생계급여 기준은 76만 원대 → 82만 원대로 상향되어, 작년에 아깝게 탈락한 분도 올해는 새롭게 수급 대상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7. 마무리: 기준 중위소득표로 내 수급 가능성 확인하세요

2026년에는 전체적으로 기준이 완화되고 지원금도 인상되어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진입장벽이 낮아졌습니다.
생계가 어려운 상황이라면, 위의 표를 참고하여 현재 소득이 해당 기준에 해당하는지 살펴보세요.

👉 복지로 누리집 또는 가까운 주민센터를 통해 상담 및 신청이 가능합니다.
모의계산 도구를 이용하면 수급 가능성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4.08.14 - [분류 전체보기] -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요건을 쉽고 빠르게 알아보자.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요건을 쉽고 빠르게 알아보자.

생계를 유지하기 힘든 사람들을 위해 최소한의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시행하는 제도가 기초생활보장제도입니다. 기초생활수급자는 어떻게 선정하는지 살펴보려고 합니다. 글을 읽고 누구나

info.jadblo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