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질병관리청 성장도표 계산기로 우리아이 성장상태 확인 방법

"이 게시물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영유아의 경우 생후 14개월에서부터 71개월까지 8차에 걸친 영유아 건강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영유아 건강검진으로 우리 아이의 키와 몸무게 등 성장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8차 영유아 건강검진 이후 아이의 성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병원에 방문하여 확인하거나 질병관리청 성장도표계산기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집에서도 간편하게 아이의 키와 몸무게 등 성장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질병관리청 성장도표 계산기로 우리아이 성장상태 확인 방법

1. 소아청소년 성장도표 백분위표

성장도표란?

질병관리청 소아청소년 성장도표

 

  • 소아청소년기는 신체적으로 성장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시기
  • 건강 및 영양 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지표가 필요
  • 소아청소년의 신장, 체중 등 신체계측치의 분포가 제시된 표로 저신창, 저체중, 비만 등 성장상태를 평가하는 표
  • 1967년부터 약 10년마다 성장도표를 제정 및 발표
  • 최근 성장도표는 2017년 소아청소년 성장도표임

성장도표 구성

성장도표구성

 

  • 연령 : 만나이(월령)
  • 신장(키) :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
  • 체중(몸무가) :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
  • 성장도표 백분위수 : 1, 3, 5,10, 15, 25, 50, 75, 85, 90, 95, 97, 99
  • 표준점수 : 인구집단의 중앙값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나타내는 점수(-3SD, -2SD, -1SD, +1SD, +2SD, +3SD)

 

 

2. 올바른 신체 계측 방법

신장 측정 방법

2세 미만  : 0~23 개월

누운키 측정방법

  • 누운 키 측정계에 머리가 천장을 향하도록 똑바로 눕힌 후 측정선과 몸이 평행이 되도록 한다.
  • 아이의 머리와 다리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 두발이 측정대와 수직이 되도록 똑바로 세운 후 측청판을 움직여 양쪽 발뒤꿈치에 완전히 붙인다.
  • 소수점 한자리까지 키를 측정한다.
  • 만약 선키로 측정했다면 측정값에 0.7cm를 더한 후 성장상태 평가한다.

2세부터 18세

선 키 측정방법

  • 모자, 머리핀, 머리끈등 장식 제거한다.
  • 신발 및 양말을 벗고 맨발로 수평판 위에  올라간다.
  • 신장계 수직판에 발 뒤꿈치, 엉덩이, 등, 머리 뒷부분이 닿도록 선다.
  • 발 뒤꿈치를 목으로 발의 내측선이 약 60도가 되도록 벌리고 무릎을 붙인다.
  • 얼굴은 정면을 응시하고 양팔은 자연스럽게 늘어뜨린다.
  • 숨을 깊게 들어 마신 상태로 머리카락을 누룰정도의 앞력만 가해지도록 수직판을 머리 정점에 닿게 한다.
  • 소수점 한자리까지 키를 측정한다.

체중 측정방법

  • 저울은 바닥이 단단하고 평평한 곳에 수평이 되도록 놓는다.
  • 체충계의 영점을 조절한다.
  • 체중을 측정하기 전에 옷을 최대한 가볍게 입는다.
  • 체중계위에 올라가 시선을 정면으로 향하고 양팔은 자연스럽게 내린 후 몸무게를 소수점 한자리까지 측증 한다.

머리둘레 측정방법

머리둘레 측정방법

  • 줄자 :  부드럽지만 늘어나지 않는 것
  • 모자, 머리핀, 머리끈 등 머리 장식은 제거한다.
  • 얼굴은 정면을 바라보고 이마의 돌출된 부위(눈살점)에서 뒤통수의 돌출된 부위(뒷통수점)을 지나는 둘레를 측정한다.
  • 머리카락은 가볍게 누르며 피부가 눌리지 않게 한다.
  • 둘레는 소수점 한자리까지 측정한다.

 

 

3. 연령 계산 방법

연령 계산 공식

연령 계산 공식

 

  • 성장도표 연령 : 만 나이, 월령으로 제시됨
  • 만 나이(개월) = [(측정 연도-출생 연도) ×12개월 + (측정월-출생월) + [(측정일-출생일) ÷(365일 ÷12개월)]
  • 일반적인 개월수 계산식과 다를 수 있음

연령 계산 예시

  • 조건
    • 생년월일 : 2010년 11월 10일
    • 측정연월일 : 2025년 3월 7일
  • 계산
    • (측정 연도 - 출생 연도) × 12개월 = (2025 - 2010) × 12개월 = 180
    • 측정월 - 출생월 = 3월 - 11월 = - 8
    • (측정일 - 출생일) ÷ (365일 ÷12개월) =( 7일 - 10일) ÷30.4일= - 0.09
    • 만 나이 = 180 - 8 - 0.09 = 171.09 개월 
    • 소수점 버림으로 구하려고 하는 만 나이(개월)는 171개월

일반적인 개월수 계산 방법

  • 일반적인 개월 수 계산방법은 30일 기준 계산법을 사용
  • 태어난 날을 기준일로 30일이 지나면 1개월로 보는 계산방법
  • 개월수 = 생후 일수 ÷ 30일 (소수점 버림)

 

 

4. 체질량 지수 계산방법

체질량 지수 계산 공식

  • 2세 이상 소아청소년은 체질량 지수를 계산하여 과체중 및 비반을 선별함
  • 체질량 지수는 소수점 한자리까지 반올림함
  • 체질량지수(kg/㎡) =  체중(kg) ÷ 신장(cm) ÷ 신장(cm) × 10,000

 

 

5. 성장도표 백분위수 보는 방법

성장도표 백분위수

  • 같은 성별과 연령 소아청소년의 표준 인구 100명의 신체계측치를 오름차순으로 나열했을 때 몇 번째에 해당되는지를 의미

성장곡선을 이용한 백분위수 확인방법 예시

  • 조건
    • 성별 : 남
    • 생년월일 : 2005년 9월 10일
    • 측정연월일 : 2017년 12월 12일
    • 신창 : 154.0cm
    • 체중 : 52.5kg
  • 연령계산 
    • [(2014-2005) ×12]+(12-9)+[(12-10)÷30.4] = 147개월(12세 3개월)
  • 남자 3세 ~ 19세 신장 백분위수
    • 가로축에 해당하는 만 나이 12세 3개월을 찾아 세로로 선을 긋는다.
    • 세로축에 해당하는 신장 154.0cm를 찾아 가로로 선을 긋는다.
    • 가로와 세로축이 만나는 지점으로 확인할 수 있다.
    • 체중과 체질량 지수도 확인하는 방법 동일

예시 성장도표백분위수

 

 

 

6. 성장도표 선별 기준

  • 영유아검진표 또는 소아청소년 성장도표를 통해 백분위수 정상 범위와 선별 범위를 구분할 수 있음
  • 성장도표 선별기준은 대한소아과학회 선별기준 활용
  • 선별기준은 참고 집단을 기반으로 평가하는 것이므로 반드시 임상적인 질환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음
  • 선별기준에 해당한다면 건강 및 영양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지속적인 관찰과 임상검사 필요를 제시하는 것임

성장도표선별기준

  • 0세에서 2세 미만 성장도표 선별기준
    • 신장 :  3백 분 위수 미만
    • 머리둘레 :  3백분위수 미만
    • 체중 : 저체중 5백 분 위수 미만, 과체중 95백분위수 미만
  • 2세 이상 18세 미만 성장도표 선별기준
    • 신장 : 3백분위수 미만
    • 체중 :  저체중 5백분위수 미만
    • 체질량 지수 : 과체중 85백분위수 이상 95백분위수  미만, 비만 95백분위수 이상

 

7. 질병관리청 성장도표계산기 

질병관리청 성장도표계산기 계산 방법

성장상태 측정계산기

 

질병관리청 소아청소년성장도표

  • 성별, 신장, 체중, 생년월일, 측정일을 입력합니다.
  • 머리둘레는 72개월 미만인 영유아만 입력합니다.
  • 측정버튼을 눌러면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백분위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시로 보는 성장상태 계산기

성장상태측정계산기

  • 성별 : 남자
  • 생년월일 : 2010.09.10
  • 신장 : 165cm
  • 측정일 : 2025.03.07
  • 체중 : 43kg

신장백분위수

  • 키는 백분위수 50보다 약간 작음.
  • 따라서 같은 연령대의 남자 중 평균보다 근소하게 키가 작다는 것을 알 수 있음.

체중백분위수체질량지수백분위수

  • 체중은 5백분위수에 위치함
  • 같은 연령대의 남자들 100명을 몸무게 작은 순으로 세웠을 때 5번째 정도 위치함을 의미
  • 체질량지수도 같은 방법으로 확인 가능

 

8. 질병관리청 성장도표 관련 자주 하는 QnA

병원에 방문하지 않고 성장도표 백분위수 확인이 가능한가요?

질병관리청에서 소아청소년 성장도표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질병관리청 성장상태 측청계산기에 성별, 생년월일, 신장, 측정일, 체중, 72개월 미만은 머리둘레를 입력한 후 측정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유아검진 백분위수 보는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성장도표 백분위수는 소아청소년의 신장, 체중 등의 신체계측치 분포도를 보여주는 표입니다. 키가 백분위수가 10이라면 같은 연령과 성별의 소아청소년들을 100명을 키가 작은 순으로 세웠을 때 10번째 서는 것을 의미합니다.